Today I Learned
[직장인이여 회계하라] 재무상태표 - 자산(유동자산) 본문
회계등식은 회계의 기본이다.
자산=부채+{자본+수익-비용}
자산=부자수비
재무상태표의 핵심, 자산
자산의 구분 | 유동자산, 비유동자산 |
차이점 | 시간 |
설명 | 회사에 돈을 벌어주는 시간이 1년 이내일 경우 유동자산, 현금화되기까지 1년 이상 걸리는 것은 비유동자산 |
유동자산
당좌자산과 재고자산으로 구분
재고자산을 뺀 나머지 자산이 당좌자산이다.
당좌자산은 영어로 'quick asset'으로, 재고자산보다 더 빨리 돈을 벌어다 준다.
당좌자산의 서열 1위는? 현금
- 현금
재무상태표에서 현금 또는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는 수표와 증권 등을 합쳐서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이라고 부른다. - 매출채권
- 매출채권은 말 그대로 물건을 팔았으니 받아야 할 돈이다.
- 분식집처럼 떡볶이를 팔고 돈을 바로 받으면 좋겠지만, 대부분의 회사는 신용거래를 하므로 상대 회사의 대금 지급 일정에 맞춰서 돈이 입금된다.
- 신용카드로 결제했을 경우엔 카드사를 통하기 때문에 돈 들어오는 시점이 늦어지고, 어음인 경우엔 더 늦어진다.
이렇게 아직 받지 못한 돈은 매출채권이다.
- 매출채권은 회사의 주된 영업활동으로 발생한 매출과 관련이 있다.
- 어음의 경우 어음으로 받으면 만기일이 돼야 현금으로 받을 수 있다.
- 매출채권을 빨리 회수해서 회사의 통장으로 현금이 들어와야 좋다. 고로, 회사는 매출채권회전율을 계산해서 매출채권 회수 관리를 한다.
- 매출채권은 분식회계의 수단으로 자주 이용되므로 유심히 봐야 한다.
- 매출채권과 대손충당금
- 대손은 한마디로 못 받을 돈이다. '에구 못 받겠구나. 그냥 준 셈 치자.' 하면 그 돈이 대손충당금이다.
- 신생기업에 물건을 팔았다. 그런데 돈을 못 받은 상태에서 신생기업이 망할 수 있다. 그 위험을 대손이라는 계정으로 대비하는 것이다.
ex)
- A회사에게 받을 매출채권이 100만 원이 있을 때 경험상 2만 원을 못 받았다면, 매출채권의 2%를 대손충당금으로 설정하는 것이다.
- 회사는 돈을 못 받을 위험을 추정해서 대손충당금 계정에 설정을 한다.
- A회사가 망했다면 외상매출금 100만 원은 받을 수 없으므로, 미리 쌓아놓은 2만 원을 제외한 나머지 98만 원을 대손충당금에 쌓아서, 대손충당금(자산 차감 계정) 100만 원과 대손상각비(비용 계정) 100만 원을 상계 처리한다. 매출채권을 회수하지 못하면 회사에 비용으로 발생하는 것이다.
- 매출채권 회수 기간을 짧게 가져가도록 엄격하게 관리해야 한다. 그래야 회사에 현금이 빨리 들어온다.
- 매출채권과 대손충당금
- 미수금
회사의 주된 영업과 관련해 발생해서 받을 돈은 매출채권이고, 그 외의 나머지는 모두 미수금이다. - 선급금 (미수금의 하위 항목)
물건을 주문할 때 계약금처럼 미리 지급하는 돈 = 금액이 확정된 것 - 선급비용 (미수금의 하위 항목)
돈은 미리 줬지만 아직 비용 처리가 되지 않는 것 = 기간에 따라 금액이 변동
ex)
예를 들어 1월 1일에 보험을 계약했다고 하자. 1년 치 보험료 120만 원을 보험사에 현금으로 지급했을 경우, 선급비용 120만 원이 된다. 아직 회사는 보험 혜택을 받지 않은 것으로 보는 것이다. 2월이 되면 선급비용 120만 원은 110만 원으로 줄어든다. 1월은 보험 혜택을 받았으므로 선급비용 120만 원 중 1개월 치 보험료 10만 원은 비용 계정 보험료로 대체된 것이다. 이렇게 기간이 지나서 비용 처리가 되는 것을 선급비용이라고 한다. - 재고자산
- 재고자산은 회사 물류센터 창고에 쌓여 있는 제품이다. 조립 중인 원재료까지 포함된다.
- 영업사원이 물건을 판매하면 제품(재고자산)은 사라지고 외상매출금(매출채권)이 된다. 판매대금이 현금으로 들어오면 매출채권은 사라지고, 현금으로 다시 원재료를 주문해서 판매할 제품(재고자산)을 만든다. 이렇게 회사에 현금이 들어오고 나가는 과정을 볼 수 있다.
- 삼성전자나 현대자동차처럼 물건을 만들어서 판매하는 회사는 재고자산이 무척 중요하다. 많이 팔려고 많이 만들었는데 안 팔리면 그만큼 현금을 낭비한 것이므로 회사에 큰 손해다.
'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장인이여 회계하라] 손익계산서 - 회사의 먹고사니즘 공식 (0) | 2022.12.26 |
---|---|
[직장인이여 회계하라] 재무상태표 - 회사의 재무 상태 분석 (0) | 2022.12.26 |
[직장인이여 회계하라] 재무상태표 - 자본 (1) | 2022.12.23 |
[직장인이여 회계하라] 재무상태표 - 부채 (0) | 2022.12.23 |
[직장인이여 회계하라] 재무상태표 - 자산(비유동자산) (0) | 2022.12.22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