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day I Learned

[직장인이여 회계하라] 재무상태표 - 부채 본문

회계

[직장인이여 회계하라] 재무상태표 - 부채

처니형 2022. 12. 23. 10:51
회계등식은 회계의 기본이다.
자산=부채+{자본+수익-비용}
자산=부자수비
와타나베 와타루가 그린 『 겁쟁이 페달』은 자전거 로드레이스 만화

유동부채와 비유동부채

부채도 자산처럼 유동부채, 비유동부채가 있다. 

자산과 반대로 1년 이내에 갚아야 할 경우는 유동부채

1년을 초과해서 갚아야 할 경우 비유동부채로 구별한다.

 

부채
유동부채 매입채무
미지급금
미지급비용
선수금
단기차입금
비유동부채 장기차입금
사채

유동부채

  • 매입채무
    매입채무는 유동자산의 매출채권, 미지급금은 유동자산의 미수금과 반대의 항목이다.
    - 매출채권과 미수금의 경우 빨리 받아내면 회사에 현금이 들어오므로 좋지만, 매입채무와 미지급금은 회사에서 현금이 나가는 것이므로 적정한 지급기일을 지켜주는 것이 좋다.
    - 회사는 매입채무를 어음으로 지급할 수도 있는데 이를 지급어음이라고 한다.
  • 미지급금
    주된 영업활동과 상관없이 구입하거나 서비스를 제공받고 돈을 지급하기로 한 것이다.
    - 물품대금, 용역료, 광고료 등
  • 미지급비용
    용역을 계속 제공받고 있거나 돈을 주기로 한 날이 아직 남았을 때는 미지급비용으로 처리한다.
    - 아직 내지 않은 통신료, 전기료, 지급하지 않은 직원들의 월급
    § 미지급금은 금액이 확정되고 이미 끝난 것, 미지급비용은 금액이 확정되지 않고 계속되는 것이라고 구별하면 된다.
  • 선수금
    선수금은 미리 받은 돈으로 계약금 또는 착수금으로 보면 된다. 일반적으로 물건 주문이 들어오면 일정 금액을 받은 후 물건 제작을 시작한다. 그런데 물건 제작에 실패하거나 판매할 수 없는 경우에는 그 돈을 다시 돌려줘야 한다.
    따라서 선수금은 부채 계정에 해당한다.
    - 대표적인 수주업체인 조선업, 건설업은 선수금의 선수들이다.
  • 차입금
    빌린 돈, 일명 대출이라고 한다. 회사는 은행에서 돈을 빌리는 경우가 가장 많다.
    - 1년 이내 갚아야 한다면 단기차입금, 1년을 초과하면 장기차입금이다.
    - 차입금이 많다고 해서 부실한 회사라고 볼 수 없다. 조심해야 할 회사는 유동자산이 적고 유동부채는 많으며 그중에서도 차입금 비중이 높은 회사다. 예를들어, 1년 이내 만들 수 있는 돈은 10억 원인데, 1년 이내 갚아야 할 돈은 15억 원이라면 문제가 있는 거다.
    - 회사는 차입금 상환을 위해 상환 계획을 세운다. 그래서 주석을 통해 어디서 돈을 빌렸고, 금리는 얼마며, 어떻게 상환할 것인지 공개해야 한다. 따라서 주식 투자를 하거나 이직을 고려하고 있다면 이 항목들을 꼼꼼히 살펴봐야 한다.

비유동부채

  • 사채
  • 장기차입금
  • 퇴직급여충당부채

부채의 세부 계정.xlsx
0.01MB

 

Comments